번호 | 카테고리 | 제목 | 저자 | 첨부파일 |
---|---|---|---|---|
506 | 2020년대 | 서니 다시 읽기: 이창래의 제스처 라이프 속 행복한 대상과 정동적 전복성 | 조은영 | 첨부파일 |
505 | 2020년대 | 어드릭의 채색된 북에 나타난 존재의 연결과 아니시나아베 사유 | 정진만 | 첨부파일 |
504 | 2020년대 | 1960년대 미국 단체교섭 제도의 개혁 시도와 실패 | 정영우 | 첨부파일 |
503 | 2020년대 | 인종 정체성과 정당단합투표: 미국 민주당 의원들의 의회 투표 변화 | 이종곤 | 첨부파일 |
502 | 2020년대 | 어슐라 K. 르 귄의 SF 작품에서의 도가적이고 미국적인 “집”에 대하여: 「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」과 환영의 도시를 중심으로 | 마춘옥 | 첨부파일 |
501 | 2020년대 | Naturalized Women: Ecofeminism in Toni Morrison’s A Mercy | Jeongin Yang | 첨부파일 |
500 | 2020년대 | Re-envisioning the Epic through the Second Person Voice in Theresa Hak Kyung Cha’s Dictée | Nami Shin | 첨부파일 |
499 | 2020년대 | A Moralist of Beauty in America: Emerson on the Cultivation of Public Virtue in Liberal Democracy | Jin-gon Park | 첨부파일 |
498 | 2020년대 | Ethnic Difference in the Construction of War Bride Narrative: Velina Hasu Houston’s Tea and Julia Cho’s The Architecture of Loss | Youngbin Hyeon | 첨부파일 |
497 | 2020년대 | Ways of Seeing: An Anatomy of Whiteness in Claudia Rankine’s The White Card | Yoon-Young Choi | 첨부파일 |